Nov 8, 2013

Teaching battle like dace battle of b-boy

I was attending teaching contest of my department as a referee. 2nd and 3rd year student prepared their own 20min-long instruction. As I see the 3rd team, got a bit bored, and all of a sudden, some idea came to my mind. Actually it was not a new idea...

Sep 17, 2013

Flipped Instruction

Finally I got the exact meaning of “flipped instruction” through this video and thinking about how to flip my lectures in university. This is not a new idea, cause we’ve used many kinds of e-learning approaches with video just like blended learning. But FI is a structured approach using both on-line learning with video and on-site instruction in classroom....

Jul 15, 2013

Sweet memory in Vancouver

When I am looking back on this trip for the conference IPTEL 2013 (International Perspective on Technology Enhanced Learning) to Vancouver, I have to give my thanks to Dr. Marina Milner-Bolotin who hosted me 2 years ago as a visiting scholar to Faculty...

Jul 1, 2013

Chemistry class in Second Life

Recently I got to know about the Second life, a 3D virtual place, which can be used in educational setting from Sonya N Martin. Today I found an interesting blog named "A chemist in second life" by Wendy L. Keeny-Kennicutt at TAMU. There is a presentation...

Jun 7, 2013

Daniel in the TV show

My grad. student and I were shown on TV show last Sunday morning. Actually it was about a wondrous rare bird called hoopoe. A mother bird used to have babies in some hole between the walls of neighboring lab, and she feeding her 5 babies everyday. Now...

Apr 25, 2013

논문 vs 곰곡

어제 프레지(prezi.com)에 대한 교수법 특강을 듣던 중에 "논문"이라는 글자를 입력해서 회전해서 보여주던 것을 연습하다가, 문득 "논문"을 180도 돌리면 "곰국"이 된다는 걸 알게되었다. 논문과 곰국. 전혀 엉뚱하게 연결되지 않는 듯 한 이 두 단어 앞에서 잠시 생각이 멈추었다. 그래 맞아.. 좋은 글이 나오려면 생각을 푹 고아야되지. 곰국처럼 생각해야 논문이 완성되는 거야. 논문 쓸 때 배고프면 안돼. 논문 쓸 땐 곰국 많이...

Mar 13, 2013

Smartphone and microteaching

As a science teacher educator, I’ve tried to let teacher candidates practice micro-teaching which consists of activities like recording and analyzing their teaching behavior. To do this I used to group 30 students into 5-6 teams, which meant that I needed...

Mar 11, 2013

여섯 단어 비망록 (Six word memoir)

영어교육자인 지인의 페북에서 힌트를 얻어, 3학년 대상의 <화학교육론> 시간에 여섯 단어 비망록으로 자기 소개 시간을 가졌다. 첫 시간에 오리엔테이션 하면서 취지에 대해 소개해 주고, 내 비망록 몇 개를 예로 보여주었다. 나는 / 세상을 / 즐겁게 / 보려고 / 항상 / 노력한다 한 아내의 / 남편이자 / 두 아이의 / 아빠 / 따뜻한 / 도시남 아침에 / 우리집은 / 전쟁터 / 밥먹이고 / 씻기고 / 출근한다 과학을 / 좋아하고 / 문학도 / 사랑하는 / 이상한 / 남자 수업중 / 웃기려고 / 이런저런 / 애기하지만 / 학생들은 / 멍~ 용지를 나눠주고 채워보도록 했다. 재밌겟다는 반응과 달리, 실제로...

Mar 10, 2013

질문으로 나의 정체 맞추기

화학교재연구및지도법 시간에 발문에 대하여 설명한 뒤, 몇 년전 알게 된 질문관련 활동을 학생들에게 소개했다. 제목은 이름하여 "나는 누구인가?" 라벨지에 다양한 동물 이름을 프린트하여 학생들의 등에 하나씩 붙여준다. 물론, 자기 등에 붙는 동물이 무엇인지는 모른다. 그 동물의 이름을 맞추는 것이 활동의 관건이다. 자신의 정체를 알아맞추기 위해 만나는 사람에게 하나의 진위형 질문을 던질 수 있고, 상대방은 "예" 혹은 "아니오"의 답만 할...